• home
  • 공정안전관리
  • 공정위험성평가

공정위험성평가

메타안전이엔씨㈜는 경험이 풍부한 박사, 기술사, 산업안전지도사 등의 전문기술자가 직접 참여하여 사고통계 및 원인분석, 근로자 인터뷰, 작업위험요인 설문 등의 사전조사를 통해 근로자 참여형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위험성평가를 통해 발굴된 위험요인은 ALARP(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체계에 따라 개선할 수 있도록 기술지원하고 있습니다.


정성적 평가 기법으로 유해위험요인을 발굴하여 위험요인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으며, 정량적 평가를 통해 피해범위를 산정하고, 산정된 위험성에 대한 피해 최소화 대책 및 비상조치계획을 수립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재산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종합위험관리체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1.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란?

유해 ・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 ・ 위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추정 ・ 결정하고 추정한 위험성에 대한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활동.

 

 

2. 위험성평가 근거

  •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 · 제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7조(위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의 기록 · 보존)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3호(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 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3. 위험성평가 수행시 기대효과

  • 구상 및 설계단계부터 위험성을 파악하여 예방대책을 수립함으로써 잠재 재해를 사전에 예방 및 제거
  • 안전하고 경제적인 공장을 건설함으로써 추후 발생할 사고에 대한 기회 비용절감
  • 설계 시 규격, 재질, 안전장치, INTERLOCK SYSTEM 등의 적절성 검토
  • 공정에 대한 안전운전 방법에 대한 사전 검토 및 안전운전 계획 수립
  • 재해에 대한 직/간접적인 손실비용 절감
  • 실제 사업장 실정에 맞는 공정안전관리 SYSTEM 구축
  • SHE 관리 사항을 통합 작업표준의 개발과 운전원의 교육에 필요한 교재로 활용
  • 기존 공장의 운전상 문제점과 비효율적인 운전 방법을 개선하며, 품질 향상에 기여
  • 운전원의 공정에 대한 관심과 참여 동기 부여

 

 

4. 위험성평가 실시절차

공정위험성평가

 

 

 

 

5. ALARP 위험성 관리 기법

공정위험성평가

 

 

 

 

6. 평가기법의 종류

정성적 평가 기법 어떠한 위험요소가 존재하는가를 찾아내는 평가방법
체크리스트
(Checklist)
리스크 확인의 간단한 형식으로 공정 및 설비의 오류 결함상태, 위험상황 등을 목록화한 형태로 작성하여 경험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리스크를 확인하는 방법
사고예상질문분석
(What if)
공정에 잠재하고 있는 위험요소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예상질문을 통하여 확인 예측하여 공정의 리스크 및 사고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는 방법
위험과 운전분석
(HAZOP, Hazard and Operability Studies)
공정에 존재하는 위험요인들과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운전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그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
고장형태와 영향분석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발생 가능한 잠재 고장형태와 그 영향을 평가하는 기법으로, 각 고장형태의 중대성을 정성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이상 위험도분석
(FMECA, Failure Modes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공정 및 설비의 고장의 형태 및 영향, 고장형태별 리스크 순위 등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작업자 실수분석
(HEA, Human Error Analysis)
설비의 운전원, 보수반원, 기술자 등의 실수에 의해 작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평가하고 그 실수의 원인을 파악 ·추적하여 실수의 상대적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
예비 위험분석
(PHA, Preliminary Hazard Analysis)
리스크를 초기에 확인하여 리스크가 나중에 발견되었을 때 드는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위험요인과 위험한 상황, 사건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방호계층분석
(LOPA,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원하지 않는 사고의 빈도나 강도를 감소시키는 독립방호계층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방법
공정안전성 분석
(K-PSR, Kosha Process Safety Review)
설치, 가동 중인 화학공장의 공정안전성(Process Safety)을 재검토하여 사고위험성을 분석하는 방법
작업안전 분석
(JSA, Job Safety Analysis)
특정한 작업을 주요 단계(Key step)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유해위험요인과 잠재적인 사고를 파악하고 이를 제거, 최소화 또는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개발하기 위해 작업을 연구하는 방법

 

 

정량적 평가 기법 위험요인을 확률적으로 분석평가
상대위험순위결정
DMI, Dow and Mond Indices)
공정 및 설비에 존재하는 위험에 대하여 상대위험 순위를 수치로 지표화하여 그 피해정도를 나타내는 방법
결함수 분석
(FTA, Fault Tree Analysis)
사고를 일으키는 장치의 이상이나 운전자 실수의 조합을 연역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사건수 분석
(ETA, Event Tree Analysis)
초기사건으로 알려진 특정한 장치의 이상 또는 운전자의 실수에 의해 발생되는 잠재적인 사고결과를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하는 방법
원인 결과 분석
(CCA, Cause Consequence Analysis)
FTA와 ETA를 조합한 것으로 잠재된 사고의 결과 및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고 사고결과를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하는 방법
ALOHA, KORA, PHAST Program을 활용하여 Consequence Analysis실시하여 영향범위내에Individual risk와 Societal risk를 조합해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